Spring(3)
-
[Spring] Filter 와 Interceptor의 개념 및 차이점
JWT 등 인증 같은 공통된 로직을 처리할 때 공통된 작업을 처리하고 중복 코드를 제거할 수 있도록 Spring에서 많은 기능들을 제공한다.그중 대표적인 필터(Filter)와 인터셉터(Interceptor) 개념 및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필터(Filter)란?: Java Servlet(서블릿)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디스패처 서블릿에 요청이 전달되기 전/후 URL 패턴에 맞는 모든 요청에 대해 부가적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만약,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을 잘 모르겠다면?아래 글을 참고해서 이해하고 이번 글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2025.07.28 - [Spring] - [Spring]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 개념 및..
2025.08.05 -
[Spring]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 개념 및 동작 과정
오늘은 Spring mvc의 핵심 기능인 디스패처 서블릿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먼저,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이란?: HTTP 프로토콜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 적합한 컨트롤러에게 위임해 주는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라고 한다.즉, 클라이언트로부터 어떠한 요청이 들어오면 Tomcat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받게 되고, 모든 요청을 프론트 컨트롤러인 디스패처 서블릿이 가장 먼저 받게 된다. 그럼 디스패처 서블릿은 공통적인 작업을 먼저 처리한 후 해당 요청을 처리해야 하는 컨트롤러를 찾아 작업을 위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여기서 말하는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란?: 서블릿 컨테이너의 제일 앞에서 서버로..
2025.07.28 -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와 스프링 빈(Spring Bean) 개념
스프링 컨테이너 (Spring Container)란? : 자바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생성된 자바 객체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 (빈을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 싱글톤 컨테이너, ioc 컨테이너라고도 불린다. 스프링 컨테이너에서의 자바 객체? = 스프링 빈(Bean)이라고 부른다. 즉, 스프링 빈(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하고 있는 자바 객체이다. 그렇다면 Bean을 등록하는 방법은? 1. @Component : Class(클래스) 단위에 붙인다. (자동) -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Bean을 따로 등록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자동으로 빈 등록) - 하위 어노테이션은 @Cofiguration, @Controller, @Service, @Repsoit..
2023.03.18